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한스타일 | 2015.07.29 22:31 | 조회 2256 | 추천 0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7737&leafId=92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풍부한 조형성과 주조기술을 보여주는<br>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은 동양조각사의 걸작입니다.

반가사유상은 반가좌()라는 특이한 자세 때문에 얼굴과 팔, 다리, 허리 등 신체 각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치마의 처리도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반가사유상의 등장은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 조각사의 출발점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 중 국보 78호 반가사유상은 풍부한 조형성과 함께 뛰어난 주조기술을 선보이는 동양조각사에 있어 걸작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국보 78호 반가사유상, 삼국시대, 6세기 후반, 금동, 높이 83.2cm, 국립중앙박물관

반가사유상이란?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뺨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반가사유의 자세는 출가 전에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인 6~7세기에 크게 유행하였으며, 대다수가 독립상으로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국보 78호 반가사유상과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이 있는데, 이 두 상은 반가사유 형식의 불상에서뿐만 아니라 석굴암 조각과 더불어 우리나라 불교조각 가운데 최고의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우리나라의 반가사유상은 일본의 아스카[], 하쿠호[]시대의 반가사유상 제작에도 영향을 끼쳤다. 반가사유상의 존명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미륵보살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이는 미래에 태어나 성불하는 구세주 미륵보살의 행적이 과거 싯다르타 태자의 그것을 비슷하게 따른다는 경전의 내용과 관련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보 78호 반가사유상의 조형적 아름다움

국보 83호 반가사유상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조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이 반가사유상은 우선 화려한 보관이 눈에 띈다. 마치 탑처럼 보이는 장식이 솟아 있는 이 보관은 태양과 초승달을 결합한 특이한 형식으로 흔히 일월식()이라고 한다. 일월식의 보관 장식은 원래 사산조 페르시아의 왕관에서 유래․발전하여 비단길을 통해 동쪽으로 전파되면서 보살상의 보관으로 차용되었는데, 인도 간다라의 보살상이나 중국 돈황석굴, 운강석굴, 용문석굴 등지에서 다양한 예가 나타난다.

정면에서 이 반가사유상을 보면 허리가 가늘며 여성적인 느낌이 들지만 측면에서 보면 상승하는 힘이 넘쳐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탄력 넘치는 신체의 곡선이 강조되었고 양쪽 어깨로부터 끝이 위로 올라와 날카로움을 한층 더해주고 있는 천의 자락은 유려한 선을 그리면서 몸을 감싸고 있다. 양 무릎과 뒷면의 의자 덮개에 새겨진 주름은 타원과 S자형의 곡선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변화무쌍한 흐름을 나타낸다.

마치 탑처럼 보이는 장식이 솟아 있는 보관은 태양과 초승달을 결합한 특이한 형식으로 흔히 일월식()이라고 한다.

양 무릎과 뒷면의 의자 덮개에 새겨진 주름은 타원과 S자형의 곡선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변화무쌍한 흐름을 나타낸다.

반가좌의 자세도 극히 자연스럽다. 그것은 허리를 약간 굽히고 고개는 살짝 숙인 채 팔을 길게 늘인 비사실적인 비례를 통하여 가장 이상적인 사유의 모습을 창출해낸 조각가의 예술적 창의력에서 비롯된다. 더욱이 뺨 위에 살짝 댄 오른손 손가락은 깊은 내면의 법열()을 전하듯 손가락 하나하나의 움직임이 오묘하다. 한마디로 이 불상의 조형미는 비사실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종교적 아름다움, 곧 이상적 사실미로 정의할 수 있다. 고졸한 미소와 자연스러운 반가좌의 자세, 신체 각 부분의 유기적 조화, 천의 자락과 허리띠의 율동적인 흐름, 완벽한 주조 기법 등, 우리는 이 금동불에서 가장 이상적인 반가사유상의 모습을 만나게 된다.

이 상은 내부가 흙으로 채워진 중공식() 주조 기법을 사용하였다. 크기가 1m에 가까워서 금동불로는 비교적 큰 상임에도 불구하고 구리의 두께가 2~4mm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얇은 두께를 고르게 유지하기 위하여 머리까지 관통하는 수직의 철심과 어깨를 가로지르는 수평의 철심을 교차시키고, 머리 부분에 철못을 사용하였다. 고도의 주조 기술이 뒷받침되었기에 이처럼 아름답고 생명력 있는 불상의 제작이 가능했던 것이다.

1m에 가까워서 금동불로는 비교적 큰 상임에도 불구하고 구리의 두께가 2~4mm에 지나지 않는다.

국보 83호 반가사유상과의 비교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은 국보 78호 반가사유상과 쌍벽을 이루는 삼국시대에 제작된 대표적인 반가사유상이다. 그러나 두 상은 조형적인 면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가장 큰 차이는 머리에 쓴 보관의 형태이다. 국보 83호 상은 머리에 낮은 관을 쓰고 있는데, 이는 삼산관() 또는 연화관()이라고 한다. 또한 국보 78호 상과 달리 상반신에는 옷을 전혀 걸치지 않았으며, 단순한 목걸이만 착용하였다. 단순하지만 균형 잡힌 신체, 자연스러우면서도 입체적으로 표현된 옷 주름, 분명하게 표현된 이목구비로 보아 6세기 후반에 제작된 국보 78호보다 조금 뒷 시기인 7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대체적으로 보고 있다. 또한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은 크기가 93.5cm로 금동으로 만든 반가사유상 중에서 가장 클 뿐만 아니라, 일본 교토[] 고류지[] 목조반가사유상과 매우 닮아, 우리나라 불상의 고대 일본 전래와 관련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한편, 국보 78호 반가사유상의 제작국과 관련하여 정확한 출토지가 알려져 있지 않아 백제 혹은 신라의 것이라는 여러 설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신체와 천의의 힘찬 기세, 고구려에서 특히 중국의 북위와 동위시대 양식의 불상이 크게 유행한 점, 그리고 고구려 고분벽화의 사신도 양식과 흡사한 점으로 미루어 고구려 불상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로는 하나의 특정 국가를 지목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이 반가사유상이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은 범용적 예술성을 가지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고 하겠다.

국보 83호 반가사유상, 삼국시대, 7세기 전반, 금동, 높이 93.5cm, 국립중앙박물관

관련링크 : 네이버뮤지엄에서 '국보 78호 반가사유상' 전시 보러가기 

권강미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공감
twitter facebook
121개(1/7페이지)
한국문화상징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21 한恨의 문화 (위키백과) 송화강 +0 453 2017.08.08
120 한국문화가 지닌 일탈의 멋 사진 아사달 +0 1189 2016.08.18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사진 한스타일 +0 2257 2015.07.29
118 천상열차분야지도 사진 한스타일 +0 2343 2015.07.29
117 낭가와 풍류[郎家. 風流]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544 2015.07.26
116 염표문:念標文 사진 첨부파일 [1] 한스타일 +0 2589 2015.07.26
115 홍익인간 정신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066 2015.07.26
114 답글 홍익인간 이념의 유래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115 2015.07.26
113 답글 이홍범 교수가 본 홍익인간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615 2015.07.26
112 답글 교육 이념으로서 홍익인간 한스타일 +0 991 2015.07.26
111 쇠젓가락 한스타일 +0 1058 2015.07.26
110 금강산은 불교의 종주산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994 2015.07.26
109 금관의 종주국 신라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143 2015.07.26
108 답글 절풍과 상투 문화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372 2015.07.26
107 동복銅鍑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503 2015.07.26
106 답글 가마인물형토기 withe 동복 사진 한스타일 +0 1441 2015.07.29
105 용과 봉황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320 2015.07.26
104 고구려의 등자 세계사를 바꾸다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528 2015.07.26
103 고구려의 힘 개마무사 – 못신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083 2015.07.26
102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249 2015.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