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이 해결한 기보법 정간보 [ 井間譜 ]
세종이 해결한 기보법 정간보 [ 井間譜 ]
조선 세종이 창안한 유량악보(有量樂譜).
조선 세종이 음의 시가를 알 수 있게 창안한 유량악보(有量樂譜). 동양에서는 가장 오래된 유량악보이다.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칸을 질러놓고 1칸(一井間)을 1박으로 쳐서 음의 시가를 표시하고, 그 정간 속에 음의 고저를 나타내는 율자보(律字譜)·오음약보(五音略譜)·합자보(合字譜)·육보(肉譜) 등을 써넣는데, 그 중 율자보를 넣는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세종실록』악보·『금합자보(琴合字譜)』·『양금신보(梁琴新譜)』·『대악후보(大樂後譜)』 등에 사용되었다. 지금도 궁중음악은 정간보에 율자보를 넣어서 사용하고 있다.
정간보(井間譜)는 종이에 네모난 칸(이를 '井間'이라 함)을 세로로 이어 그 속에 율명의 첫 글자를 한자(漢字)로 적어 기보하는 것으로 조선 세종(世宗)때 창안되었으며, 동양 최초의 유량악보(有量樂譜)이다.
【12율명】
황종(黃鐘), 대려(大呂), 태주(太簇), 협종(夾鐘), 고선(姑洗), 중려(仲呂), 유빈(蕤賓), 임종(林鐘), 이칙(夷則), 남려(南呂), 무역(無射), 응종(應鐘)
한 칸이 박자의 단위가 되어 흔히 한 박에 해당하며, 그 안에 율명의 첫 글자는 음의 높이를 표시한다. 이 정간보는 전통음악을 기보하는 데 주로 쓰이는 반면, 새롭게 창작된 창작국악 작품은 편의에 따라 서양식의 오선보를 쓰며, 역시 근자에 채보(採譜)되는 산조나 민요의 악보도 오선보를 사용하고 있다.


19개(1/1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19 |
한민족의 노래 세계의 아리랑
![]() |
한스타일 | +0 | 2170 | 2015.07.29 |
18 | 우주의 율려 풍물과 한민족 | 한스타일 | +0 | 1748 | 2015.07.25 |
17 |
궁상각치우와 중임무황태
![]() ![]() |
한스타일 | +1 | 2944 | 2015.07.23 |
16 |
노란 색 소리의 씨앗 황종(黃鍾)
![]() ![]() |
한스타일 | +0 | 1963 | 2015.07.23 |
15 |
국악장단,휘모리,굿거리,대-한민국
![]() ![]() |
한스타일 | +1 | 2161 | 2015.07.23 |
14 |
한국 판소리는 심오한 철학이죠"
![]() ![]() |
한스타일 | +1 | 1854 | 2015.07.23 |
13 |
판소리 동편제,서편제,중고제
![]() ![]() |
한스타일 | +0 | 2325 | 2015.07.23 |
12 |
세종과 종묘 제례악
![]() ![]() |
한스타일 | +0 | 1688 | 2015.07.23 |
11 |
![]() ![]() ![]() |
한스타일 | +0 | 1230 | 2015.07.29 |
>> |
세종이 해결한 기보법 정간보 [ 井間譜 ]
![]() ![]() |
한스타일 | +0 | 2966 | 2015.07.23 |
9 |
한국 궁중음악의 대표 수제천(壽齊天)
![]() ![]() |
한스타일 | +0 | 1172 | 2015.07.23 |
8 |
고조선의 노래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 ![]() |
한스타일 | +0 | 1123 | 2015.07.23 |
7 | 배달과 단군조선 시대의 제천가 어아가(於阿歌 | 한스타일 | +0 | 1243 | 2015.07.23 |
6 | 배달시대로부터 내려온 민족음악 | 한스타일 | +1 | 999 | 2015.07.23 |
5 |
고조선의 예악
![]() ![]() |
한스타일 | +0 | 1185 | 2015.07.23 |
4 |
음악과 예는 모두 동이족의 종교적 의식에서 나와
![]() ![]() |
한스타일 | +0 | 983 | 2015.07.23 |
3 | 가무 | 한스타일 | +0 | 1004 | 2015.07.23 |
2 | 동이 음악 | 한스타일 | +0 | 1089 | 2015.07.23 |
1 | 독일 출신 세계적 오페라 연출가 아힘 프라이어 “판소리, 처음 듣고 매료 | 한스타일 | +0 | 1118 | 2015.07.2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