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표문:念標文
염표문:念標文의 홍익인간
옛적에 환웅천황께서 천하가 광대하여 한 사람이 능히 다스릴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풍백과 우사와 운사를 거느려,곡식과 왕명과 형벌과 질병과 선악을 관장하고,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하여, 책력을 지어 365일 5시간 48분 46초를 1년으로 삼으셨다. 이것이 바로 삼신일체상존上尊(상제님)께서 남겨 주신 법도이다.그러므로 천황께서 삼신의 도로써 가르침을 세우고(三神立敎) 그 품고 계신 뜻을 전하는 글(염표문:念標文)을 지으시니 그 <염표문>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일신(삼신:三神)께서 참마음을 내려 주셔서 (일신강충:一神降衷)
사람의 본성은 무궁한 신의 대광명에 통해 있으니 (성통광명:性通光明)
삼신상제님의 진리(神敎)로 세상을 다스려 깨우쳐서 (재세이화:在世理化)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라 (홍익인간:弘益人間)
이때부터 소도가 건립되어 도처에서 볼 수 있었고,산상山像과 웅상熊像이 산곡대기마다 세워졌다.사방에서 모여든 백성이 둥글게 마을을 이루고 네 집이 정전井田의 단위를 이루어농사를 짓고, 조세는 20분의 1을 바쳤다. 사시가 고르고 풍년이 들어 집 밖에 곡식을 산더미처럼 쌓아 놓으니
온 백성이 기뻐하여 (태백환무太白環舞)라는 노래를 지어 후세에 전하였다.
환단고기338 - 339p
121개(1/7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121 | 한恨의 문화 (위키백과) | 송화강 | +0 | 485 | 2017.08.08 |
120 | 한국문화가 지닌 일탈의 멋 | 아사달 | +0 | 1222 | 2016.08.18 |
119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한스타일 | +0 | 2289 | 2015.07.29 |
118 | 천상열차분야지도 | 한스타일 | +0 | 2382 | 2015.07.29 |
117 | 낭가와 풍류[郎家. 風流] | 한스타일 | +0 | 2580 | 2015.07.26 |
>> | 염표문:念標文 [1] | 한스타일 | +0 | 2619 | 2015.07.26 |
115 | 홍익인간 정신 | 한스타일 | +0 | 2094 | 2015.07.26 |
114 | 홍익인간 이념의 유래 | 한스타일 | +0 | 2145 | 2015.07.26 |
113 | 이홍범 교수가 본 홍익인간 | 한스타일 | +0 | 1643 | 2015.07.26 |
112 | 교육 이념으로서 홍익인간 | 한스타일 | +0 | 1016 | 2015.07.26 |
111 | 쇠젓가락 | 한스타일 | +0 | 1084 | 2015.07.26 |
110 | 금강산은 불교의 종주산 | 한스타일 | +0 | 1021 | 2015.07.26 |
109 | 금관의 종주국 신라 | 한스타일 | +0 | 1165 | 2015.07.26 |
108 | 절풍과 상투 문화 | 한스타일 | +0 | 1399 | 2015.07.26 |
107 | 동복銅鍑 | 한스타일 | +0 | 1529 | 2015.07.26 |
106 | 가마인물형토기 withe 동복 | 한스타일 | +0 | 1468 | 2015.07.29 |
105 | 용과 봉황 | 한스타일 | +0 | 1347 | 2015.07.26 |
104 | 고구려의 등자 세계사를 바꾸다 | 한스타일 | +0 | 1552 | 2015.07.26 |
103 | 고구려의 힘 개마무사 – 못신 | 한스타일 | +0 | 2112 | 2015.07.26 |
102 |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 한스타일 | +0 | 1277 | 2015.07.2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