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한 왕 낭야가 쌓은 낭야성이 지금도 중국 지명에 남아 있다.
번한 왕 낭야가 쌓은 낭야성이 지금도 중국 지명에 남아 있다.
- 감우소를 낭야성에 설치하여 구려분정에서 논의된 일을 결정하였다 [삼한관경본기] 989p
- (주 : 초대 번한왕 치우천황의 후손) 치두남이 세상을 뜨자 아들 낭야가 즉위하였다. 이해 경인(단기83,BCE 2251)년 3월에 가한성을 개축하여 뜻밖의 사태에 대비하였다. 가한성은 일명 낭야성琅邪인데 번한왕 낭야가 쌓았으므로 낭야성琅邪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 991p
구글 지도 琅邪山 검색 : 낭야산은 지금도 지명으로 남아있다.
낭야성 : 지금의 산동성 제성현 동남에 있다. 원명은 가한성. 번한의 2세 낭야왕이 개축하였다. 일명 낭야성이라 하였는데 일찍이 오늘의 산동,안휘,강소,절강성 일대에 진출하여 살던 동이 조선족을 나누어 다스린 단군조선 분조의 수도였다. (최동 [조선상고사]참조) 989p
중국의 모든 고지도에 등장하는 ‘낭야성’


42개(1/3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42 | 新친일파’의 등장 호사카유지 세종대교수 칼럼 | 송화강 | +0 | 515 | 2017.07.09 |
41 |
칭기스 칸 가계의 비밀 코드를 찾아서
![]() |
한스타일 | +1 | 2061 | 2015.08.09 |
40 |
![]() ![]() ![]() |
한스타일 | +1 | 2037 | 2015.08.09 |
39 | [수교 50년, 교류 2000년 한일, 새로운 이웃을 향해] 연재 | 한스타일 | +0 | 1787 | 2015.07.27 |
38 |
"일본인의 9할은 진짜 자기 역사 모른다"
![]() ![]() |
한스타일 | +0 | 1855 | 2015.07.26 |
37 | 도쿄대 교수 “한국어가 일본어 뿌리” 英학회보에서 주장 | 한스타일 | +0 | 1875 | 2015.07.26 |
36 | 중국과 일본의 지배층은 원래 한국인들이었다. | 한스타일 | +0 | 1741 | 2015.07.26 |
35 | 거서간,마립간,막리지의 뜻 | 한스타일 | +0 | 2233 | 2015.07.26 |
34 |
진무천황은 36세 단군 매륵때의 협야후배반명
![]() ![]() |
한스타일 | +0 | 1746 | 2015.07.26 |
33 |
위만의 번조선 찬탈과 위만 정권의 성격
![]() ![]() |
한스타일 | +0 | 1462 | 2015.07.26 |
32 |
순임금은 단군왕검을 알현했다. 사근동후肆覲東后의 진실
![]() ![]() |
한스타일 | +0 | 1103 | 2015.07.25 |
31 |
요순선양은 거짓,단군조선의 힘으로 순이 나라를 넘겨받다.
![]() ![]() |
한스타일 | +0 | 1609 | 2015.07.25 |
30 |
단군의 아들 부루태자가 오행치수법을 전한 사건의 실체
![]() ![]() |
한스타일 | +0 | 1222 | 2015.07.25 |
>> |
번한 왕 낭야가 쌓은 낭야성이 지금도 중국 지명에 남아 있다.
![]() ![]() |
한스타일 | +0 | 1609 | 2015.07.25 |
28 | 치우천황은 묘족일뿐? | 한스타일 | +0 | 1037 | 2015.07.25 |
27 | 고조선 계승의식을 가진 거란 | 한스타일 | +0 | 1217 | 2015.07.25 |
26 | 일본 고대사는 한민족의 이주사 | 한스타일 | +0 | 1066 | 2015.07.25 |
25 | 대마도의 조선식 산성 | 한스타일 | +0 | 1021 | 2015.07.25 |
24 |
백제에 없으면 시시한것. くだらない(구다라나이)
![]() ![]() |
한스타일 | +0 | 1288 | 2015.07.25 |
23 |
일본어의 뿌리는 한국어
![]() |
한스타일 | +0 | 1344 | 2015.07.2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