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 노래 세계의 아리랑
아리랑은 한국은 물론 해외 한민족 사회에서 널리 애창되는 민요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부를 수 있는 노래이다. 아리랑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라는 후렴과 사설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의 노래로서, 특정 지역과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여러 세대에 걸쳐 각 지역에서 구전으로 전승되어 온 것이다. 아리랑의 기원과 발생지를 명확하게 추적하기는 쉽지 않지만, 아리랑은 태백산맥 주변 지역에서 불리기 시작해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강원도 정선, 전라남도 진도, 경상남도 밀양 등지에서는 각 지역적 특징을 반영한 특유의 아리랑으로 남아 오늘에 전하고 있다.
아리랑에 대한 역사 기록으로는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당시에 전국 각지에서 징발된 노동자들에 의해 불렸다는 내용이 전한다. 1910년 한일 강제병합 소식을 듣자 비통함을 이기지 못하여 자결한 매천 황현의 [매천야록](1900)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내용을 살펴보면 고종 임금도 ‘아리랑’을 즐겨들었으며, 당시에도 우열을 논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아리랑이 불렸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1896년 미국인 선교사 헐버트(Homer BHulbert:1863~1949)는 <Korea Repository>라는 잡지에 [Korea Vocal music]이란 제목으로 아리랑을 영문 가사와 서양음계로 채보하여 수록하였다. 헐버트 선교사는 아리랑이 1883년부터 대중적인 애호를 받게 되었으며, 제각기 다른 내용이지만 후렴은 변하지 않고 쓰인다는 해설과 함께 ‘조선인에게 아리랑은 쌀이다’라고 하였다. 또,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이 아리랑을 들을 수 있고, 격정적으로 유행을 타지는 않지만 오래도록 불릴 노래라는 말도 덧붙였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아리랑은 1926년 나운규에 의해 제작된 영화 <아리랑>의 주제곡이다. 영화 <아리랑>은 1926년 4월과 6월 사이에 서울 안암동에서 촬영이 시작되었으며, 그 해 10월 1일에 단성사에서 첫 상영이 되었다. 영화가 만들어지고 상영되던 1926년은 여러 사건이 일어난 해이기도 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던 순종이 1926년 4월 25일에 서거하였다. 나운규를 비롯한 영화 스텝들이 서울 안암동에서 영화 아리랑을 촬영하던 시점과 묘하게 겹쳤다. 아마도 나운규와 그의 스텝들은 영화 촬영 중에, 또는 그 직전에 순종황제의 서거 소식을 들었을 것이다. 순종 황제의 인산일(因山日)인 6월 10일에는 대규모 만세시위가 벌어졌는데(6·10만세운동), 이를 주도한 이들 중에는 영화 <아리랑>의 주인공들과 같이 농촌에서 상경한 유학생들도 많았다. 영화 <아리랑>이 첫 상영을 하던 날에는 경복궁 흥례문을 헐고 그 자리에 조선총독부의 건물을 완공하고 나서 이를 축하하는 낙성식이 있었던 날이기도 했다. 이렇게, 영화 <아리랑>은 1926년의 식민지 조선에서 가장 극적인 상황에서 제작, 상영된 것이다.
한편, 나운규는 <아리랑>을 제작할 때 ‘할리우드식의 빠른 전개와 유머를 도입하여 관객이 지루하지 않는 영화를 만들려 했다’고 회고했다. 이러한 상업적 요소와 더불어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조선의 자화상이 함께 그려졌기에 영화 <아리랑>은 상업적으로도 크게 흥행을 하게 된 것이다. 영화는 한반도 전역에서 순회상영을 통해 큰 인기를 끌었으며, 간도와 일본에 이르기까지 조선인이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상영되었다. 이는 결국 영화 주제가인 아리랑 노래가 한반도에서 일본, 만주를 넘어 중앙아시아까지 꽃씨처럼 퍼져나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영화 <아리랑>은 무성영화였기 때문에 변사(辯士)에 의해서 대사가 전달되었으며, 배경음악은 단성사 악단에 의해서 실황으로 연주되었다. 이 때 극장에서는 바이올린으로 아리랑을 연주하였다. 한민족의 감성이 녹아있는 음악으로 상징되는 아리랑이 국악기가 아닌 바이올린으로 연주된 것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더욱 흥미롭다. 이 시기에 재정리된 아리랑이 이미 한국을 넘어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선율로 재탄생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26년 영화 <아리랑>의 성공 이후에 노래 아리랑은 한국인들 정체성의 상징이 되었다. 식민지 체제 하에서의 고달픈 삶 속에서도, 일본, 만주 등 타향살이의 서러움 속에서도, 심지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를 당한 고려인들의 아픔까지도 달래주며 그들과 함께한 것은 바로 아리랑이었다. 그래서 머나먼 땅으로 이주한 한국인 1세대들은 한국어는 잃어버린 채 살아가고 있어도 어쩌다 들리는 아리랑 선율에는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이와 함께 아리랑은 한국인들을 다시 하나로 만드는 노래이기도 하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당시 남북한이 공동입장을 할 때 사용되었던 노래가 아리랑이었고, 2002년 월드컵 당시에도 빠르고 강한 리듬의 아리랑은 전 국민을 단합시키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아리랑이 2012년에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민족의 문화유산을 넘어서 인류의 무형유산으로 인정받는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를 가질까? 각 민족과 국가, 사회공동체가 전승하고 있는 노래가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는 경우는 많다. 하지만 아리랑은 한민족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의미로서만이 아니라 세계인들의 마음을 울릴 수 있는 선율과 감성을 가졌다는 장점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을 것 같은 그런 민간의 노래였지만,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 음악, 나아가 이제는 국민 대통합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하지만 아리랑은 원래 그러하였듯이 이 땅의 소박한 서민들의 노래이다. 그러므로 아리랑이 ‘누구의 것이다’라는 것보다 ‘아리랑’ 그 자체가 우리가 이 시대에 맞게 향유하고 즐길 줄 아는 그런 문화라는 인식, 그러한 가치의 발견이 더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한국인이 있기에 아리랑이 있기도 하지만, 아리랑이 있기에 한국인과 한국문화의 존재 가치가 더욱 빛나는 것은 아닐까?
아리랑에 대한 해외의 관심과 함께 아리랑을 세계인과 공유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2010년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에서 발간한 「아리랑 악보집」 중 영문 번역을 발췌하여 소개한다.
아리랑 (Arirang)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저산에 지는해는 지고싶어지나
날 버리고 가시는 님은 가고 싶어 가나
Arirang arirang arariyo crossing over Arirang hill
He who left me behind will get sore feet within a mile
Do you think the sun over that mountain really wants to set at dusk?
Do you think the one who abandoned me really wanted to leave?
구조아리랑 (Old Arirang)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Arirang arirang arariyo
crossing over Arirang hill
He who left me behind will get sore feet within a mile
밀양아리랑 (Miryang Arirang)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날좀보소 날좀보소 날좀보소
동지섣달 꽃본 듯이 날좀보소
밀양의 영남루 찾아가니
아랑의 정절이 새롭구나
Ari arirang sseuri sseurirang crossing over Arirang hill
Please look at me! Please look at me! Please look at me!
Please just take one look at me as though looking at the flowers that bloom in the depths of winter
Arriving at Milyang’s1) Yeongnam2) pavilion oh how new is Arang’s3) fidelity
진도아리랑 (Jindo Arirang)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문경새재는 웬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 눈물이로구나
청천 하늘엔 잔별도 많고
우리네 가슴속엔 희망도 많다
Ari arirang sseuri sseurirang my heart is broken
Arirang eungeungeung my heart is broken
What is this gate on a hill called Moongyungseje4),
this winding trail brings tears to my eyes
The clear blue sky holds innumerable little stars and,
likewise, inside our hearts we carry many hopes
해주아리랑 (Haeju Arirang)
아리아리 얼쑤 아라리요
아리랑 얼씨구 노다가세
아리랑 고개는 웬 고개냐
널어갈 적 넘어올 적 눈물이 난다
저기 가는 저 아가씨 눈매를 보소
겉눈을 감고서 속눈만 떳네
Ari ari eolssu arariyo Arirang eolssigu let’s have some fun
Each time I go back and forth over Arirang hill
why do tears come to my eyes?
See that young lady over there passing by,
her eyes seem closed but she looks
through half-closed eyes
정선아리랑 (Jeongseon Arirang)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 고개로 나를 넘겨주게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 장마 질라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든다
정선같은 살기 좋은 곳 놀러 한번 오세요
검은산 물밑이라도 해당화가 핍니다
맨드라미 줄봉숭아는 토담이 붉어 좋구요
앞남산 철쭉꽃은 강산이 붉어 좋다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 좀 건네주게
싸릿골 올동백이 다 떨어진다
정선의 구명은 무릉도원 아니냐
무릉도원은 어디가고 산만 층층 하네
Arirang arirang arariyo
Help me cross over Arirang hill
Looks like it will snow or rain or maybe it will pour down.
Over Mansu mountain, the dark
clouds gather over Mansu mountain
Come take a vacation in Jeongseon, a wonderful place to live.
The sweet brier blooms even in water,
The red cockscomb and impatiens grow well in the reddened earthen wall.
They like it if the rivers and mountains are red on the side of south mountain, on the side of southmountain
Boatman on Aooraji river would you please lend me a boat?
The young camellia blossoms of Ssaritgol have all fallen
Didn’t the old name of Jeongseon used to be Mooreung do won?
What happened to this ‘utopia,’ for only the mountains remain
관련 행사
번호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 | 한민족의 노래 세계의 아리랑 | 한스타일 | +0 | 2139 | 2015.07.29 |
18 | 우주의 율려 풍물과 한민족 | 한스타일 | +0 | 1722 | 2015.07.25 |
17 | 궁상각치우와 중임무황태 | 한스타일 | +1 | 2913 | 2015.07.23 |
16 | 노란 색 소리의 씨앗 황종(黃鍾) | 한스타일 | +0 | 1931 | 2015.07.23 |
15 | 국악장단,휘모리,굿거리,대-한민국 | 한스타일 | +1 | 2129 | 2015.07.23 |
14 | 한국 판소리는 심오한 철학이죠" | 한스타일 | +1 | 1824 | 2015.07.23 |
13 | 판소리 동편제,서편제,중고제 | 한스타일 | +0 | 2293 | 2015.07.23 |
12 | 세종과 종묘 제례악 | 한스타일 | +0 | 1650 | 2015.07.23 |
11 | 종묘대제 | 한스타일 | +0 | 1202 | 2015.07.29 |
10 | 세종이 해결한 기보법 정간보 [ 井間譜 ] [5] | 한스타일 | +0 | 2928 | 2015.07.23 |
9 | 한국 궁중음악의 대표 수제천(壽齊天) | 한스타일 | +0 | 1149 | 2015.07.23 |
8 | 고조선의 노래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 한스타일 | +0 | 1098 | 2015.07.23 |
7 | 배달과 단군조선 시대의 제천가 어아가(於阿歌 | 한스타일 | +0 | 1200 | 2015.07.23 |
6 | 배달시대로부터 내려온 민족음악 | 한스타일 | +1 | 972 | 2015.07.23 |
5 | 고조선의 예악 | 한스타일 | +0 | 1160 | 2015.07.23 |
4 | 음악과 예는 모두 동이족의 종교적 의식에서 나와 | 한스타일 | +0 | 959 | 2015.07.23 |
3 | 가무 | 한스타일 | +0 | 981 | 2015.07.23 |
2 | 동이 음악 | 한스타일 | +0 | 1060 | 2015.07.23 |
1 | 독일 출신 세계적 오페라 연출가 아힘 프라이어 “판소리, 처음 듣고 매료 | 한스타일 | +0 | 1095 | 2015.07.22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