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한자의 변모과정 : 갑골문 → 금문 → 전문 → 예서 →해서

한스타일 | 2015.07.23 16:23 | 조회 2519 | 추천 0

한자의 변모과정 : 갑골문 → 금문 → 전문 → 예서 →해서


갑골문은 은(殷)으로도 불린 고대 중국의 상(商·기원전 16∼11세기) 왕조 때 만들어져 오랜 역사와 함께 금문(金文), 전문(篆文), 예서(隸書) 등의 단계를 거쳐 지금의 문자체(文字體)인 해서(楷書)로 변모해 오고 있다. 현대 중국은 일부 글자의 획수나 모양을 간략하게 한 간체자를 쓴다. 우리의 한자와 중국 글자의 모양이 얼마간 다른 이유다. 그 줄기는 같다. http://goo.gl/Csbylq 


한자의 서체 시대적 변화 


1. 갑골문(甲骨文) : B.C. 15세기경 은왕조 시대 때 사용된 문자 

갑골문은 3500년 전 중국 은왕조 때 사용된 것으로 현존하는 중국 최고의 문자다. 거북의 등딱지나 배딱지(대부분 배딱지에 새김) 혹은 소의 어깨뼈 등에 거북점을 치고 그 내용을 정인(鼎人)이 칼로 새겨 기록한 문자로, 갑골문 대다수가 그림의 성격이 강하며 서체가 가늘고 긴 것이 특징이다. 귀갑수골문자, 은허문자, 계문, 복사(卜辭)라고도 칭한다. 


2. 금문(金文) : B.C. 11세기초 주왕조가 들어선 서주시대(西周時代) 때 사용된 문자 

청동기를 제작 할 때 주물 틀에 새겨 넣어 만든 글자다. 종이나 솥에 새겼다 하여 종정문(鐘鼎文) 이라고도 하며 아직까지도 그림의 성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서체로서, 갑골문에 비해 자형이 굵고 둥근 형태가 특징이다. 명문(銘文), 길금문, 이기문자, 종정이기문자라고도 칭한다. 


3. 소전(小篆) : B.C. 3세기 진시황제(秦始皇帝) 때 사용된 문자 

진시황제 때 통일 서체로 발전한 전서는 대전(통일 이전)과 소전으로 나누지만 우리가 말하는 전서라 함은 주로 소전을 지칭한다. 모든 획이 둥글며 가지런하여 가장 아름다운 서체라 할 수 있으며 주로 서예나 인장 등에 새길 때 전서를 많이 애용한다. 진전(秦篆)이라고도 칭한다. 


4. 예서(隸書) : B.C. 3세기 소전과 함께 진시황제(秦始皇帝) 때 사용된 문자 

관청의 하급관리들이 행정적 실용성이 중시 되었던 진나라 시절에 쉽고 빠른 필사를 위해 소전의 둥근 획을 직선형으로 넓게 변형시킨 서체다. 소전에서 예서로의 변형(예변)으로 인하여 이체자가 상당수에 이른다. 한자의 자형이 예서에 와서 모두 갖추게 되었다. → 한대의 공식서체로 발전 


5. 초서(草書) : B.C. 2세기 중국 전한(前漢)시대 때 사용된 문자 

한자를 쓸 때 흘려서 쓴 서체로 발전하기는 하였으나, 정도가 지나쳐 실용성 면에서는 그 가치가 현저히 떨어져 예술의 세계인 서예가들에게 주로 통용되는 서체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왕희지, 왕헌지 부자에 이르러 초서의 절정기를 이루었다. 흘림체, 반초라고도 칭한다. 


6. 행서(行書) : A.D. 1세기 후한(後漢) 때 사용된 문자 

방정하고 규격화된 해서의 단점과 지나치게 흘려 쓴 초서의 단점을 보완한 간단한 필기형의 중간 서체로서의 그 가치가 있다. 중국 후한 초기의 류덕승(劉德昇)에 의해 쓰기 시작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해서와 초서의 중간서체로 반 흘림체라고도 칭한다. → 서체중 행서는 가장 실용적 서체 


7. 해서(楷書) : A.D. 2세기 진한 교체기인 후한(後漢) 때 예서와 함께 사용된 문자 

후한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위진남북조를 거치면서 당대 표준 서체가 된 해서는 서체 중 가장 방정하고 모범적인 자형으로 굳어졌다. 일점일획이라는 규격에 대표자형으로 삼을만하다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고 쓰는 한자의 대표적 자형이다. 眞書(진서)라고도 칭한다. 그 후 중국 정부가 문자개혁의 일환으로 번잡한 한자를 간략화 하여 한자간화방안을 공포함으로써 간체자가 공인 실용화에 서게 되었다.〈1956年 간화자 보급〉 



공감
twitter facebook
17개(1/1페이지)
한국어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7 김진명 "漢字는 '동이족' 문자..우리 뿌리 자부심 가져야 한스타일 +0 1824 2015.07.31
16 한국어와 한글이 뜬다. 사진 첨부파일 [3] 한스타일 +0 2754 2015.07.25
15 한글의 우수성 사진 첨부파일 [7] 한스타일 +0 4223 2015.07.25
14 한자는 발음으로 봐도 우리말이다 [3] 한스타일 +1 3369 2015.07.23
13 갑골문보다 1천년 앞선 골각문도 동이문자 사진 첨부파일 [1] 한스타일 +0 3451 2015.07.23
>> 한자의 변모과정 : 갑골문 → 금문 → 전문 → 예서 →해서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520 2015.07.23
11 한자(漢字)의 원조 갑골문 사진 첨부파일 [1] 한스타일 +1 3793 2015.07.23
10 한자의 시조 창힐문자 사진 첨부파일 [1] 한스타일 +0 4495 2015.07.23
9 진태하 박사 한자는 우리글이다 강의 한스타일 +0 1229 2015.07.23
8 민족문자 훈민정음 (2)] 세종대왕 단독작품 사진 한스타일 +0 1383 2015.07.23
7 민족문자 훈민정음 (1)] 훈민정음(訓民正音) 한스타일 +0 1190 2015.07.23
6 세종어제 훈민정음 한스타일 +0 1064 2015.07.23
5 우리 글 변천과정 38→28→24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324 2015.07.23
4 훈민정음과 가림토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321 2015.07.23
3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한글 한스타일 +0 1106 2015.07.22
2 한글로 생각하면 영어보다 뇌 공간지각 활성화 ” 한스타일 +0 1040 2015.07.22
1 한국어와 드라비다어 헉 이렇게 같을수가 ?? 한스타일 +0 1148 201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