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석가모니 초상화의 비밀 : 그의 혈통은 동이족

한스타일 | 2015.07.26 18:00 | 조회 1572 | 추천 0

석가모니 초상화의 비밀 : 그의 혈통은 동이족



대부분의 사람들이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상화가 실제로 있다는 점에 놀라는데  바로 위의 그림이 바로 대영박물관에 있는 부루나 존자가 그린 그림이다. 

Gautama Buddha's real portrait at the age of 41 painted by Pûrna (Phú-Lâu-Na), a Buddha's follower [The original painting is in British Museum]


석가모니 41세때의 초상화가 있습니다. 석가의 제자인 부루나미가 그린 것으로 동이족의 모습과 너무나 닮아 석가모니가 우리와 같은 혈족이라고 확신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준환, [하나되는 한국사] 135쪽, 1992년)


부루나 존자 산스크리트어 pūrṇa의 음사.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하나. 바라문 출신으로, 설법을 잘 하여 설법제일(說法第一)이라 일컬음. 녹야원(鹿野苑)에서 붓다의 설법을 듣고 그의 제자가 됨. 인도의 서쪽 지방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다가 거기에 입적함.



석가모니의 혈통

 석가부처는 그동안 알려진 것처럼 인도의 주류를 이루는 민족인 아리안 족이 아니다. 일찍이 이 땅에 유불도의 원형의식인 풍류도가 있다고 깨우쳐 준 고운 최치원 선생은 "석가불은 해 돋는 우이의 태양이다. 서토에서 드러났으나 동방에서 나왔다."고 했다.


 붓다 , 나를 흔들다 (법륜스님)


또 1920년대 후반 영국의 사학자 스미스는, 석가부처는 동쪽에서 이주해 온 코리족 출신이라고 했다.  몽골리안 인종 중에 한민족의 일파인 코리족이 네팔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석가는 바로 그 후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일본의 불교학계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석가부처의 여러 성도 그가 동방족의 혈통이었을 가능성을 강하게 보여준다.  <개벽실제상황 263쪽>


... 석가모니의 진정한 모습은 그리스의 화풍이 들어간 아테네식도 아니고 후에 전통을 이어간 아리안(현재의 이란 및 인도의 종족)계통의 심목고비가 아닌 몽고계인 것이 확실하다. 


왜냐하면 현대 네팔에 샤카족이라 하여 석가모니의 후손들이 있는데 그들의 모습은 바로 우리의 모습과 같기 때문이다


모든 불상이 석가모니 진짜 모습이 아닌 이유. 

 

  석가모니 부처님의 사실의 모습은 있기는 한데 부처님의 형상은 본래 그리거나 만들지도 않았었는데 부처님이 돌아가신 후(열반)500년동안 그림으로나 형상으로는 표현을 하지 아니하였다.


 그 이유는 생존시 큰 깨달음의 자리는 말과 글로도 표현 할 수 없어 부처님도 말없이 세 곳에서 전하셨는데(삼처전심)어디 감히 부처의 모습이나 형상을 만들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렇게 부처님 열반에 드신 후 500년 넘도록 부처님의 형상은 표현이 안되어 오다가 인도의 서북부 지역까지 점령해 들어온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의 세력 하 통치시대에 만들어지게 되는데 간다라 지역에서 나오는 불상들의 모습은 거의 모두가 완전 그리스 사람들의 얼굴형이다. 지금도 파미르고원 실크로드 부근 알렉산더왕이 동진했던 지역에는 그의 병사들이 현지인들과 결혼 후 내려오는 집단촌이 있는데 지게 후손들은 서양인의 모습이다. 


 왜 그렇게 되는고 하니 당시 불상을 만드는 것은 상상도 못하던 시기에 정치적으로 가장 강자인 그리스의 티벳지역 점령군 통치자 총독이 우연한 기회에 부처님의 경전을 접하고 스님들의 법문을 듣고 불교에 심취하게 된다 그런 그리스의 총독이 이렇게 훌륭한 성인의 모습이 왜 없느냐는 의아심에 그리스인 들에 의해 불상이 최초로 만들어 지게 된다. 


 당시 승려나 불자들의 눈에는 처음에는 못마땅 했으나 막상 조성해 놓고보니 그리 나쁜 것만 아니였고 대업을 이루신 부처님을 기리는 상징도 되고 차츰 경외하는 존숭의 예배 대상으로 사찰의 법당에 모셔지는 것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티벳쪽 으로 동진하여 중국을 지나 우리 한반도에 그리고 현해탄 넘어 일본까지 인도의 남동진한 불상은 세일론(현재의 스리랑카)라오스 캄보디아 버마 태국 월남 으로 지나오게 될때의 특징은 그 지역의 살고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닮아 간다는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실존 당시의 실제 모습은 두 가지가 있는데 대영 박물관에 있는 석존 상호는 눈섭이 짙고 상꺼풀이 선명하고 아주 미남형의 인도인의 전형적인 미남형의 상호이라 실제 석가모니 부처님의 상호로 보기 힘들고 가장 현실적이고 상호도 당시 부처의 나라인 <샤카족>이 살던 <가비라국>사람들은 인도의 전통적인 높은 코 와 짙은 검은 눈썹과 두꺼운 쌍거풀 보다는 현재의 네팔사람들 상호와 중간정도의 상호 들이였다.


부처님 在世시 10대 제자중에서 설법을 제일 뛰어나게 잘했다는< 부루나 다라미자 尊者>가 직접 그렸다는 초상화가 가장 신빙성 있어 보이는데 그 초상화를 기준으로 상호를 보게되면 굵은 선의 부드러운 적당한 곱슬머리에 수염도 적당히 있고 이마나 안면의 선이 아주 서구도 아니고 우리 쪽의 몽골리언 모습에 가까운 티베트인들과 의 중간 형이며 어깨 골격도 넓고 강하며 석굴암의 부처님 정도의 비율의 골격에 인간적인 굴곡이 강한 아주 호남형으로  앞가슴도 적당히 넓게 벌어진 모습 등으로 보아 키도 약 1.87~1m90cm정도로 짐작되는 상호이다.

공감
twitter facebook
79개(1/4페이지)
한국의 종교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79 [김구 선생에게 전달된 독립운동 자금] 한스타일 +0 1910 2015.07.31
78 영화 암살 속 실존인물 김원봉과 김구와 보천교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045 2015.07.31
77 장독대 귀신 : 철융신(천룡신) 사진 한스타일 +0 1861 2015.07.27
76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한스타일 +0 1921 2015.07.27
75 미륵불이 오시길 염원한 한민족,한반도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849 2015.07.26
74 미륵부처님은 (옥황)상제님이다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063 2015.07.26
73 불교의 미래부처 미륵불과 기독교의 메시아는 같은분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2402 2015.07.26
72 미륵 부처님은 어떤 부처인가?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147 2015.07.26
71 불교 미래관의 핵심은 미륵불의 강세 한스타일 +0 978 2015.07.26
70 석가모니 부처는 단군의 자손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279 2015.07.26
69 [신교총화] 선천 성자들의 도의 연원 한스타일 +0 1099 2015.07.26
68 신교神敎에서 뻗어나온 불교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034 2015.07.26
>> 석가모니 초상화의 비밀 : 그의 혈통은 동이족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573 2015.07.26
66 석가모니가 출현하기 이전 부터 우리 동방땅은 부처님과 인연이 깊은 불국토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135 2015.07.26
65 마을 민간신앙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433 2015.07.25
64 [증산도]우주를 움직이는 세 가지 힘 무극 태극 황극 사진 한스타일 +0 1109 2015.07.25
63 삼천공덕(三千功德) 사진 한스타일 +0 1057 2015.07.25
62 답글 요범사훈 사진 첨부파일 한스타일 +0 1074 2015.07.25
61 보천교운동과 동학(東學) 한스타일 +0 1107 2015.07.25
60 일제하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보천교 한스타일 +0 996 201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