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 회화에 담긴 자포니즘의 흔적을 추적해 본다.
부채의 역사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4세기에, 중국에서는 기원전 2세기에 부채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접을 수 있는 휴대용 부채는 이로부터 거의 1000년 후 일본에서 발명됐다. 동양의 접부채는 16세기 말 포르투갈 상인에 의해 유럽에 소개된 후 17세기부터 남녀를 불문하고 널리 사용됐다. 주로 상류층 여성의 초상화에 보이는 이 시기의 부채들은 깃털, 보석, 레이스 등으로 화려하게 꾸며졌다. 부채는 소유자의 품위를 높여 주며 색다른 이국정취를 불러일으켰다.
부채는 1860년대부터 영국과 프랑스에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각종 부채가 실용품을 넘어 수집품이나 실내 장식품으로 각광을 받았다. 무엇보다 접부채는 여성 패션의 중요한 일부로 여겨졌다. 제임스 티소(James Tissot)의 그림 ‘야회’에서처럼 여성이 사교모임이나 공연장에 갈 때면 드레스와 모자로 성장(盛粧)을 하고 부채를 들어야 비로소 패션이 완성됐다. 이처럼 부채가 크게 유행한 것은 ‘자포니즘(Japonisme)’이라 불리는 일본풍의 성행 덕분이었다. 자포니즘은 유럽 미술에 대한 일본 예술문화의 영향을 일컫는다. 박람회나 무역을 통해 유럽에 들어온 일본 미술품이나 일용품들은 주로 인상주의 회화와 장식미술의 독특한 양식을 발달시키는 데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부르주아 여성의 필수품이 된 부채
![]() |
모네가 이 그림을 그린 이유는 그저 일본풍을 찬양하거나 당시의 경향을 반영하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심한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잘 팔리는 주제를 택한 것이었다. 그는 특유의 생략된 신속한 붓질을 쓰지 않고 보다 전통적인 기법으로 대상을 꼼꼼히 묘사했다. 그림이 완성되자 1876년 제2회 인상주의 전시회에 출품했고, 예상대로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훗날 그는 이 그림에 대해 대중의 기호에 영합한 졸작이라고 자평했지만, 아직도 사람들은 펼쳐지는 부채의 향연 속에 붉게 피어나는 여인의 아름다움에 즉시 빠져들곤 한다.
모네뿐 아니라 다른 인상주의자들도 부채를 작품의 소재로 즐겨 다뤘다. 전통적으로 부채는 여성의 교태, 수줍음, 조신함 등 여성성과 결부돼 일종의 문화적 기호(sign)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시각은 인상주의 시대에도 이어졌지만 작가에 따라 오히려 의미를 역전시켜 도시 여성의 멋과 근대적 자의식을 드러내는 기호로 바꾸기도 했다.
![]() |
같은 시기 파리에서 활동한 메리 카사트(Mary Cassatt)는 미국 출신의 신여성으로서 보다 적극적인 여성상을 표현했다. ‘오페라 극장의 검은 옷을 입은 여인’에서 주인공은 오직 자신이 보고 싶은 것에 몰두한다. 그녀는 야회복이 아니라 노출 없는 검은 복장으로 온 몸을 감추고 있다. 멀리서 한 남자가 쌍안경으로 그녀를 보고 있지만 그런 시선 따위는 개의치 않는다. 여성스러움의 상징인 부채는 왼손에 완전히 접혀 있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오히려 여성에게 부여된 인습적 규범을 접어 버리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는 듯하다. 부채의 딱딱한 형태가 이를 뒷받침한다.
접부채는 펼치면 얇은 평면과 규칙적인 부챗살, 가장자리와 안쪽의 둥근 곡선만으로도 훌륭한 조형미를 형성한다. 선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장식을 첨가한다면 또 다른 예술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부채를 접으면 그 모든 것이 감쪽같이 숨어버린다. 전혀 다른 막대 모양으로 변해 그것으로 무엇을 지시하거나 공격할 수도 있다. 유럽의 회화 속에서 부채는 흔히 여성적 특징과 연결되지만 사실상 이면에는 힘, 권위, 페니스와 같은 남성적 속성이 들어 있다. 19세기 후반 카사트는 독신으로 활동하며 남자들의 세계에서 예술과 경제를 겨뤄야 했다. 그녀는 그림 속 검은 옷의 여성에게 부채를 들게 함으로써 그동안 숨겨진 부채의 남성적 측면을 표면으로 끌어낸다. 이는 화가 자신이 지닌 욕망의 반영이며, 그것을 사회적으로 충족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로 볼 수 있다. 접힌 부채는 전혀 바람을 일으킬 것 같지 않지만 어쩐지 앞으로 여성에게 불어올 변화의 바람을 예고하는 것 같다.
박은영 미술사가·서울하우스 편집장
![]()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