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교총화] 선천 성자들의 도의 연원
[신교총화] 선천 성자들의 도의 연원
도교의 연원
도교로 말하면, 노자가 스스로 성을 이李라고 하였는데 이李 자는 ‘동방東方의 아들’이란 뜻이니 이것은 자기가 동방 사람임을 가리킨 것이 아니고 무엇이리요.
(以道敎言之, 老子之初生而自指李(東方木也), 李字, 木子之意, 非東方而何!)
불교의 연원
석가로 말하면, 육 년 동안 고행을 하여 깨달은 도는 무궁무궁한 ‘삼신의 진리’ 를 원각圓覺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 그러므로 평생의 공덕이 이 천명天命을 받들어 자비에 힘쓴 것일 뿐이다.
(以釋迦言之, 其所耐苦六年而悟道, 不過是尊吾帝釋之無窮無窮無無 窮神理之覺, 圓得如如而來 … 故平生所工, 只此尊天命務慈悲而已)
유교의 연원
공자의 가르침으로 설명하면, 공자가 일생동안 중히 여긴 것은 천명에 순응하고 천도를 공경하여 상제님의 뜻을 높이는 것이었다.
(以孔子敎說之, 孔子一生所重, 順天命敬天道, 以尊上帝之意.)
기독교의 연원
예수로 말하면, 상제님의 명을 받고 유대가 망했던 때에 내려와서(유대 역시 진동방의 지파이다) 상제님의 도를 밝혔다. 동방에서 서방으로 가서 ‘평등의 교설’로 일세를 흔들어 깨웠으니 이 또한 상제님의 명에 따라 그리한 것이다.
(以耶蘇談焉, 耶蘇不過是受上帝之命, 降于猶太亡國之際(是亦震東方支派地方內), 以說明上帝之道. 自東徂西, 以鼓 動平等之說, 以警一世, 亦不過是上帝之一命者而已.)
유교 불교 기독교는 신교神敎의 각 지파
세상에서 행하여지는 삼교의 진리를 보면, 도교에서는 은둔 수행하여 장생불사하고, 불교에서는 고요히 선정하여 심법 닦고, 유교에서는 기강을 펴고 인륜을 밝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들은 모두 신교神敎의 심오하고 광대 한 진리에 위배될 수 없는 것이다. (道之行於世, 不過是 老之遁數延命, 迦之抱元含神, 儒之陳紀明倫而已 皆不能違神敎涵泓廣大) <“이것이 개벽이다”, 안경전 지음, 148쪽>


번호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79 | [김구 선생에게 전달된 독립운동 자금] | 한스타일 | +0 | 1909 | 2015.07.31 |
78 |
영화 암살 속 실존인물 김원봉과 김구와 보천교
![]() ![]() |
한스타일 | +0 | 2045 | 2015.07.31 |
77 |
장독대 귀신 : 철융신(천룡신)
![]() |
한스타일 | +0 | 1861 | 2015.07.27 |
76 |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 한스타일 | +0 | 1921 | 2015.07.27 |
75 |
미륵불이 오시길 염원한 한민족,한반도
![]() ![]() |
한스타일 | +0 | 1849 | 2015.07.26 |
74 |
미륵부처님은 (옥황)상제님이다
![]() ![]() |
한스타일 | +0 | 2062 | 2015.07.26 |
73 |
불교의 미래부처 미륵불과 기독교의 메시아는 같은분
![]() ![]() |
한스타일 | +0 | 2402 | 2015.07.26 |
72 |
미륵 부처님은 어떤 부처인가?
![]() ![]() |
한스타일 | +0 | 1147 | 2015.07.26 |
71 | 불교 미래관의 핵심은 미륵불의 강세 | 한스타일 | +0 | 978 | 2015.07.26 |
70 |
석가모니 부처는 단군의 자손
![]() ![]() |
한스타일 | +0 | 1279 | 2015.07.26 |
>> | [신교총화] 선천 성자들의 도의 연원 | 한스타일 | +0 | 1099 | 2015.07.26 |
68 |
신교神敎에서 뻗어나온 불교
![]() ![]() |
한스타일 | +0 | 1034 | 2015.07.26 |
67 |
석가모니 초상화의 비밀 : 그의 혈통은 동이족
![]() ![]() |
한스타일 | +0 | 1572 | 2015.07.26 |
66 |
석가모니가 출현하기 이전 부터 우리 동방땅은 부처님과 인연이 깊은 불국토
![]() ![]() |
한스타일 | +0 | 1135 | 2015.07.26 |
65 |
마을 민간신앙
![]() ![]() |
한스타일 | +0 | 1433 | 2015.07.25 |
64 |
[증산도]우주를 움직이는 세 가지 힘 무극 태극 황극
![]() |
한스타일 | +0 | 1109 | 2015.07.25 |
63 |
삼천공덕(三千功德)
![]() |
한스타일 | +0 | 1057 | 2015.07.25 |
62 |
![]() ![]() ![]() ![]() |
한스타일 | +0 | 1074 | 2015.07.25 |
61 | 보천교운동과 동학(東學) | 한스타일 | +0 | 1106 | 2015.07.25 |
60 | 일제하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보천교 | 한스타일 | +0 | 996 | 2015.07.25 |
최근댓글